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87

Linux 콘솔 창에서 IP를 이용한 장비연결 장비접속을 위해 콘솔창을 열고 명령어를 친다 ssh root@장비 ip주소 ex> $ssh root@192.168.0.xx 해당 장비의 password를 입력하라는 문구가 뜨면 password를 입력한다. 아래는 password를 입력한 후 해당장비에 연결된 상태이다. - 중간 생략 - 2019. 1. 18.
[펌] OrCAD 단축키 OrCAD 단축키 All Capture Windows 단축키 설명 ALT + F4 프로그램 종료 ALT, F, X 프로그램 종료 ALT Spacebar C 프로그램 종료 F1 도움말 Ctrl + F8 풀스크린 화면 모드 (Close Full Screen 버튼 또는 ESC 키로 종료) Schematic Page Editor CTRL + A 모두 선택 SHIFT + A 계층도면 상위 회로도로 이동 SHIFT + D 계층도면 하위 회로도로 이동 B 버스 배치 E 버스엔트리 배치 F 전압 배치 (VCC, VCC_ARROW 등) G 그라운드 배치 (GND , 0 등) J Junction 배치 및 제거 (두 선의 접점 배치 및 제거) N Net Alias 배치 (배선에 이름을 부여) P 부품 배치 T 글자 배치 W.. 2018. 11. 6.
[펌] WorkBench for STM32 IDE 6강 - 프로젝트 Import 하기 [출처] http://cafe.naver.com/circuitsmanual/170130 이번에는 WorkBench for STM32 에서, CubeMX 로 생성한 프로젝트 파일을 가져와 보겠습니다. △ 일단 WorkBench for STM32를 실행합니다. File 메뉴의 Import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. △ 폴더 모양이 쭈욱 뜹니다. 스크린샷에서는 잘렸지만, General 폴더 앞의 ▷를 눌러보시면 Existing Projects into Workspace 가 있습니다. 선택후 Next를 누릅니다. △ 이러한 창이 뜹니다. 폴더를 선택하거나, 아카이브 파일(프로젝트를 압축한 파일) 둘중에 선택할수 있습니다. 저는 폴더를 선택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Browse 를 눌러 CubeMX 에.. 2017. 12. 4.
[펌] WorkBench for STM32 IDE 4강 - CubeMX 연동 1 출처: http://cafe.naver.com/circuitsmanual/169430 ST에서 내놓은 프로그램중에 STM32CubeMX 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 각 핀마다 기능을 사용할수 있게 세팅해놓으면 소스코드를 생성해주는 일종의 소스코드 위저드입니다. 저는 이 위저드 기능을 100% 사용하는게 아니라, 프로젝트 생성시에 헤더파일 잡아주고 여러가지 세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만 사용합니다. 일단 다운로드를 하죠! STM32CubeMX 링크 : http://www.st.com/web/catalog/tools/FM147/CL1794/SC961/SS1743/PF259242 위 페이지를 보시면 최 하단에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. 다운로드를 받아보면 압축파일 형태로 되어있습니다. 압축프로그램이 없으신 분은.. 2017. 12. 4.
[펌] WorkBench for STM32 IDE 3강 - 드라이버 잡기 출처: http://cafe.naver.com/circuitsmanual/169382 드라이버 설치여부를 확인해봅니다. 이미 설치하신 분들은 단계 2로 바로 이동하세요. 단계1. 장치관리자를 열어 드라이버 설치가 됐는지 확인하기입니다. 윈도우키 + Pause Break 를 누르면 시스템 창이 뜹니다. △ 좌측에 있는 장치관리자를 눌러 장치관리자를 엽니다. △ ST-Link 드라이버는 범용 직렬 버스 장치 분류 안에 있습니다. 이 분류 내에서 위 스크린샷 처럼 보이지 않으면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, 에러가 난 경우입니다. 단계 2.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ST 공식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페이지에 가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합니다. 다운로드 페이지 : http://www.st.com/web/en/catalog.. 2017. 12. 4.